top of page
New Posts/최근글
Archive/자료
Recent Posts/지난글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RSS Feed

2019년 01월 29일


1월29일(녹) 연중 제3주간 화요일

Tuesday of the Third Week in Ordinary Time

+ 히브리서 10,1-10

< 보십시오, 하느님! 저는 당신의 뜻을 이루러 왔습니다. >

해설) 유다교의 전례는 죄를 체험하게 해 주지만 죄에서 벗어나게 해 주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는 죄를 없애 주시고 당신 자신과의 생생한 체험을 통해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맺게 해 주십니다. 그리스도 예수님께서는 새 계약을 맺어 주시고, 하느님께 가까이 갈 수 있는 새 백성을 만드십니다.


형제 여러분, 1 율법은 장차 일어날 좋은 것들의 그림자만 지니고 있을 뿐 바로 그 실체의 모습은 지니고 있지 않으므로, 해마다 계속해서 바치는 같은 제물로는 하느님께 나아가는 이들을 완전하게 할 수 없습니다. 2 만일 완전하게 할 수 있었다면, 예배하는 이들이 한 번 깨끗해진 다음에는 더 이상 죄의식을 가지지 않아 제물을 바치는 일도 중단되지 않았겠습니까? 3 그러한 제물로는 해마다 죄를 기억하게 될 뿐입니다. 4 황소와 염소의 피가 죄를 없애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5 그러한 까닭에 그리스도께서는 세상에 오실 때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당신께서는 제물과 예물을 원하지 않으시고 오히려 저에게 몸을 마련해 주셨습니다. 6 번제물과 속죄 제물을 당신께서는 기꺼워하지 않으셨습니다. 7 그리하여 제가 아뢰었습니다. ‘보십시오, 하느님! 두루마리에 저에 관하여 기록된 대로 저는 당신의 뜻을 이루러 왔습니다.’” 8 그리스도께서는 먼저 “제물과 예물을”, 또 “번제물과 속죄 제물을 당신께서는 원하지도 기꺼워하지도 않으셨습니다.” 하고 말씀하시는데, 이것들은 율법에 따라 바치는 것입니다. 9 그다음에는 “보십시오, 저는 당신의 뜻을 이루러 왔습니다.” 하고 말씀하십니다. 두 번째 것을 세우시려고 그리스도께서 첫 번째 것을 치우신 것입니다. 10 이 “뜻”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단 한 번 바쳐짐으로써 우리가 거룩하게 되었습니다.


+ First Reading, Hebrews 10:1-10

One Sacrifice instead of Many. 1 Since the law has only a shadow of the good things to come, and not the very image of them, it can never make perfect those who come to worship by the same sacrifices that they offer continually each year. 2. Otherwise, would not the sacrifices have ceased to be offered, since the worshipers, once cleansed, would no longer have had any consciousness of sins? 3 But in those sacrifices there is only a yearly remembrance of sins, 4 for it is impossible that the blood of bulls and goats take away sins. 5 For this reason, when he came into the world, he said: “Sacrifice and offering you did not desire, but a body you prepared for me; 6 holocausts and sin offerings you took no delight in. 7 Then I said, ‘As is written of me in the scroll, Behold, I come to do your will, O God.’” 8 First he says, “Sacrifices and offerings, holocausts and sin offerings, you neither desired nor delighted in.” These are offered according to the law. 9 Then he says, “Behold, I come to do your will.” He takes away the first to establish the second. 10 By this “will,” we have been consecrated through the offering of the body of Jesus Christ once for all.



묵상) 구약의 제사에서 해마다 제물을 바치면서 죄를 되새겨야 하는 것은 짐승의 피로서는 죄를 없앨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뜻을 따라 단 한 번 몸을 바치시고 그 때문에 우리는 거룩한 사람이 된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피로 우리는 하느님과 올바른 관계를 갖게 되고 그래서 무죄선언을 받게 된 것입니다.





+ 마르코 3,31-35

<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


해설) 예수님과의 관계에 있어서 핏줄로 맺어진 혈연관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예수님을 따르는 영적관계가 더 중요합니다. 제자들은 예수님과 영적관계를 형성합니다. 제자들이 영적가족의 일원이 되기 위해 자기가족을 떠나 예수님을 따릅니다. 그러나 그리스도 신자들이 영적가족의 일원이 되려면 주님의 뜻을 행하면 됩니다.

31 그때에 예수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왔다. 그들은 밖에 서서 사람을 보내어 예수님을 불렀다. 32 그분 둘레에는 군중이 앉아 있었는데, 사람들이 예수님께 “보십시오, 스승님의 어머님과 형제들과 누이들이 밖에서 스승님을 찾고 계십니다.” 하고 말하였다. 33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누가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냐?” 하고 반문하셨다. 34 그리고 당신 주위에 앉은 사람들을 둘러보시며 이르셨다. “이들이 내 어머니고 내 형제들이다. 35 하느님의 뜻을 실행하는 사람이 바로 내 형제요 누이요 어머니다.”


+ Holy Gospel of the Jesus Christ according to Saint Mark 3:31-35

31 The mother of Jesus and his brothers arrived at the house. Standing outside, they sent word to Jesus and called him. 32 A crowd seated around him told him, "Your mother and your brothers and your sisters are outside asking for you." 33 But he said to them in reply, "Who are my mother and my brothers?" 34 And looking around at those seated in the circle he said, "Here are my mother and my brothers. 35 For whoever does the will of God is my brother and sister and mother."



묵상) 예수님께서 원하시는 참된 영적가족 공동체는 예수님과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아니라, 예수님의 말씀을 귀담아 듣고 그 말씀을 마음에 새기고 그 말씀을 실천하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공동체입니다. 예수님의 참 가족은 자기 삶 속에서 주님의 뜻을 실천하고 당신의 사명을 이어 받은 사람들로 이루어집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뜻을 이루려고 세상에 오신 것입니다. 영적가족의 개념은 혈연이나 지연이나 학연 등의 편협한 인간적 관계를 넘어섭니다. 하느님을 아버지로 믿고 따르는 사람은 모두 하느님 안에서 형제자매입니다. 서로 사랑하고 희생하고 봉사하고 나누며 주님의 뜻을 행하며 사는 사람은 모두 영적가족입니다.



2019년 01월 29일 화요일

서울교구 조창수 토마스 아퀴나스 신부

02-3789-5425 010-8889-5425

 

Time After Time (Acoustic Cover)

예수님의 참가족

+ 마르코 3,31-35

1. 예수님의 형제들과 누이들은 성모님을 모시고 예수님을 찾아옵니다. 그들은 예수님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갖고 있습니까? 예수님은 왜 이들을 반기지 않으셨습니까? 하느님의 뜻은 생각하지 않고 인간적 사고로만 생각하고 행동하는 그들의 마음과 믿음을 이미 읽으셨기 때문은 아닐까요?


2. 나는 왜 예수님을 따르고 있습니까?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하느님의 참 가족이 된다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나또한 인간적인 사고 때문에 자주 하느님의 뜻을 놓치며 살지는 않습니까? 내 삶의 중심은 어디에 맞춰져 있으며 예수님의 참 가족이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합니까?






Today’s Reflection :


Tuesday 29th of the Third Week in Ordinary Time


First Reading : Hebrews 10:1-10

Holy Gospel : Mark 3:31-35


True spiritual kinship


We again read from Hebrews and about the Law of the Torah, which the Jews obeyed, but which did not win them life for they had to make sin offerings regularly. However, the law of Christ’s Gospel will win us life because we have been reconciled with God. If we live by the will of Christ then there will be no need for sin offerings because we will not sin.


Today’s Gospel text is quite short and yet very profound. Jesus’ family come looking for him and those with him tell him this. In reply he tells them that those about him are his mother and brothers and sisters. Those who hear his message and follow it, obeying the commandment of love and avoiding sin, are the true family of Christ.


Prayer :

"Heavenly Father, you are the source of all true friendship and love. In all my relationships, may your love be my constant guide for choosing what is good and for rejecting what is contrary to your will." Amen.

 

성 질다 (Saint Gildas)

축 일 : 01월 29일

신 분 : 수도원장, 역사가

활동지역 : 뤼(Rhuys)

활동년도 : 500?-570년경

같은이름 : 길다스, 바도니꼬, 바도니꾸스, 바도니코, 바도니쿠스, 질다스



현자로 불리며 8세기 초반부터 성인으로 공경을 받은 성 길다(또는 질다)는 “브리튼의 전복과 정복”(De excidio et conquest Brittaniae)이란 저서로 유명하다. 하지만 그의 생애는 구름에 가려져 있다. 그는 500년경 스트래스클라이드(Strathclyde) 왕국에서 태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어린 시절에 관한 이야기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성직자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수도자였을 가능성이 높다. 성 길다에 관한 여러 전기와 자료를 종합해 보면 그는 스코틀랜드 서부에 있던 덤바턴(Dumbarton) 지역에 있었을 것으로 여겨지는 클라이드(Clyde) 강 연안 지역의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그는 일투드(Illtud, 11월 6일) 성인의 지도로 웨일스(Wales)에서 공부하였다. 이때 돌(Dol)의 주교가 된 성 삼손(Samson, 7월 28일)과 레온의 성 베드로(Petrus)와 같이 공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도자로 생활한 후 아일랜드로 건너가서 사제가 될 준비를 하였고, 북아일랜드의 아마(Armagh)에서 잠시 생활하였다. 이때 그는 많은 사람들을 신앙으로 인도하고 수도원과 교회 건립에 힘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로마(Roma)로 성지순례를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고독한 삶을 위해 브르타뉴(Bretagne) 외곽 지역에 있는 오트(Houat) 섬에서 은수자로 살았다. 그 후 사람들의 요구에 의해 본토의 뤼에 수도원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성 길다는 아일랜드에서 특별한 공경을 받고 있고, 브르타뉴와 그외 여러 지역의 성당과 수도원의 수호성인으로 존경을 받고 있다. 그는 바도니쿠스(Badonicus)로도 불린다.



출처 : 가톨릭 홈

 


매일미사_2019년 01월29일(녹) 연중 제3주간 화요일

Tags: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