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ew Posts/최근글
Archive/자료
Recent Posts/지난글
Follow Us
  • Facebook Basic Square
  • Twitter Basic Square
  • Google+ Basic Square
RSS Feed

2017년 5월 11일


5월11일(백) 부활 제4주간 목요일

Thursday of the Fourth Week of Easter



+ 사도행전 13,13-25

< 하느님께서는 다윗의 후손 가운데에서 예수님을 구원자로 보내셨습니다. >

해설) 바오로 사도는 세 차례의 선교 여행 때마다 상당히 긴 연설을 하였습니다. 1차 선교 여행 중에는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 회당에서 디아스포라 유다인들에게, 2차 여행 중에는 아테네의 아레오파고스 법정에서 이방인에게, 그리고 마지막 여행 중에는 밀레토스에서 에페소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설교하였습니다.


13 바오로 일행은 파포스에서 배를 타고 팜필리아의 페르게로 가고, 요한은 그들과 헤어져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14 그들은 페르게에서 더 나아가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에 이르러, 안식일에 회당에 들어가 앉았다. 15 율법과 예언서 봉독이 끝나자, 회당장들이 그들에게 사람을 보내어, “형제들이여, 백성을 격려할 말씀이 있으면 해 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16 그러자 바오로가 일어나 조용히 하라고 손짓한 다음, 이렇게 말하였다. “이스라엘인 여러분, 그리고 하느님을 경외 하는 여러분, 내 말을 들어 보십시오. 17 이 이스라엘 백성의 하느님께서는 우리 조상들을 선택하시고, 이집트 땅에서 나그네살이할 때에 그들을 큰 백성으로 키워 주셨으며, 권능의 팔로 그들을 거기에서 데리고 나오셨습니다. 18 그리고 약 사십 년 동안 광야에서 그들의 소행을 참아 주시고, 19 가나안 땅에서 일곱 민족을 멸하시어 그 땅을 그들의 상속 재산으로 주셨는데, 20 그때까지 약 사백오십 년이 걸렸습니다. 그 뒤에 사무엘 예언자 때까지 판관들을 세워 주시고, 21 그다음에 그들이 임금을 요구하자, 하느님께서는 벤야민 지파 사람으로서 키스의 아들인 사울을 그들에게 사십 년 동안 임금으로 세워 주셨습니다. 22 그러고 나서, 그를 물리치시고 그들에게 다윗을 임금으로 세우셨습니다. 그에 대해서는, ‘내가 이사이의 아들 다윗을 찾아냈으니, 그는 내 마음에 드는 사람으로, 나의 뜻을 모두 실천 할 것이다.’ 하고 증언해 주셨습니다. 23 이 다윗의 후손 가운데에서, 하느님께 서는 약속하신대로 예수님을 구원자로 이스라엘에 보내셨습니다. 24 이분께서 오시기 전에, 요한이 이스라엘 온 백성에게 회개의 세례를 미리 선포하였습니다. 25 요한은 사명을 다 마칠 무렵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너희는 내가 누구라고 생각 하느냐? 나는 그분이 아니다. 그분께서는 내 뒤에 오시는데, 나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어 드리기에도 합당하지 않다.’”


+ First Reading, Acts 13:13-25


13 From Paphos, Paul and his companions set sail and arrived at Perga in Pamphylia. But John left them and returned to Jerusalem. 14 They continued on from Perga and reached Antioch in Pisidia. On the sabbath they entered into the synagogue and took their seats. 15 After the reading of the law and the prophets, the synagogue officials sent word to them, "My brothers, if one of you has a word of exhortation for the people, please speak." 16 So Paul got up, motioned with his hand, and said, "Fellow children of Israel and you others who are God-fearing, listen. 17 The God of this people Israel chose our ancestors and exalted the people during their sojourn in the land of Egypt. With uplifted arm he led them out, 18 and for about forty years he put up with them in the desert. 19 When he had destroyed seven nations in the land of Canaan, he gave them their land as an inheritance 20 at the end of about four hundred and fifty years. After these things he provided judges up to Samuel the prophet. 21 Then they asked for a king. God gave them Saul, son of Kish, a man from the tribe of Benjamin, for forty years. 22 Then he removed him and raised up David as their king; of him he testified, I have found David, son of Jesse, a man after my own heart; he will carry out my every wish. 23 From this man's descendants God, according to his promise, has brought to Israel a savior, Jesus. 24 John heralded his coming by proclaiming a baptism of repentance to all the people of Israel; 25 and as John was completing his course, he would say, 'What do you suppose that I am? I am not he. Behold, one is coming after me; I am not worthy to unfasten the sandals of his feet.'"


묵상) 1차 선교 여행 중에 피시디아의 안티오키아 회당에서 디아스포라 유다인들에게 한 바오로의 설교는 이스라엘의 전 역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출애굽 사건과 사십 년간의 광야 생활과 판관 시대를 거쳐 왕정 체제로 이어지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설명한 후에 다윗의 후손 가운데 메시아에 관한 하느님의 언약을 강조하였습 니다.


+ 요한 13,16-20

< 내가 보내는 이를 맞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맞아들이는 것이다. >


해설)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 줌으로써 제자들에 대한 당신의 사랑을 드러내 보이셨습니다. 예수님의 사랑은 십자가의 죽음으로까지 연결됩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심으로써 그들에 대한 마지막 헌신적 사랑을 보여 주셨고 당신의 죽음으로 이루어질 사랑의 공동체도 이루셨습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신 다음,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16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종은 주인보다 높지 않고, 파견된 이는 파견한 이보다 높지 않다. 17 이것을 알고 그대로 실천하면 너희는 행복하다. 18 내가 너희를 모두 가리켜 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뽑은 이들을 나는 안다. 그러나 ‘제 빵을 먹던 그가 발꿈치를 치켜들며 저에게 대들었습니다.’라는 성경 말씀이 이루어져야 한다. 19 일이 일어나기 전에 내가 미리 너희에게 말해 둔다. 일이 일어날 때에 내가 나임을 너희가 믿게 하려는 것이다. 20 내가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내가 보내는 이를 맞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맞아들이는 것이고, 나를 맞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보내신 분을 맞아들이는 것이다.”


+ Holy Gospel of the Jesus Christ according to Saint John 13:16-20


When Jesus had washed the disciples' feet, he said to them: 16 "Amen, amen, I say to you, no slave is greater than his master nor any messenger greater than the one who sent him. 17 If you understand this, blessed are you if you do it. 18 I am not speaking of all of you. I know those whom I have chosen. But so that the Scripture might be fulfilled, The one who ate my food has raised his heel against me. 19 From now on I am telling you before it happens, so that when it happens you may believe that I AM. 20 Amen, amen, I say to you, whoever receives the one I send receives me, and whoever receives me receives the one who sent me.”



묵상) 예수님께서 당신 제자들에게 지극한 사랑을 보여 주는 가운데도 악마는 활동하여 유다를 악의 도구로 삼았습니다. 유다의 배신행위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예수님은 여전히 하느님으로부터 파견되신 분이십니다. 유다의 배신행위는 오히려 성경 말씀대로 이루어진 사건, 곧 십자가에 높이 들어 올리어진 사건이 되었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예수님을 보내신 분까지 믿는 것이고, 예수님을 보는 사람은 예수님을 보내신 분도 보는 것입니다. 빛으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은 절대 어둠 속에 살지 않을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세상을 단죄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우리를 구원하러 오셨습니다. 진정 예수님의 말씀은 영원한 생명을 줍니다.



2017년 05월 11일 목요일 천주교 서울대교구 조창수 토마스 아퀴나스 신부


Wash Me Lord - Trina T Feliciano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시다

+ 요한 13,16-20


1. 예수님의 발 씻김 예식은 내게 어떤 의미입니까? 예수님은 왜 우리에게 자신을 낮추고 다른 사람을 사랑으로 대하도록 가르치십니까? 나는 공동체 안에서 어떤 마음으로 이웃을 대하고 있습니까? 나는 충실히 제자의 삶을 살고 있습니까?


2. 내가 생각하는 올바른 신앙인의 모습은 어떤 것 입니까? 나는 주님을 믿으며 주님이 가르쳐주신 것들을 잘 실천하며 살고 있습니까? 하느님을 열심히 믿는다고 자부하면서 내 주변의 이웃이나, 가족, 친구 등 어려운 이들에게 함부로 대하거나 인색한 적은 없었습니까? 내가 고쳐야할 것은 무엇입니까?






Today’s Gospel Reflection : John 13:16-20

The I AM of Jesus, is inclusive of the Father and the Holy Spirit not separately but together as Trinity. Whoever receives Jesus is receiving Trinity. Trinity inside drives our desire to be Trinity like, otherwise known as God like. This desire actively seeks out opportunities for mercy, compassion and love. As one of the side benefits, virtues rise to the surface pushing aside vices that might otherwise hold us back.


Prayer: "Eternal God, who are the light of the minds that know you, the joy of the hearts that love you, and the strength of the wills that serve you; grant us so to know you, that we may truly love you, and so to love you that we mayfully serve you, whom to serve is perfect freedom, in Jesus our Lord." (Prayer of Saint Augustine) . Amen

 

성 프란치스코 데 예로니모(Saint Francis of St. Jerome)

축 일 : 5월 11일

신 분 : 신부

활동지역 : 나폴리(Napoli)

활동년도 : 1642-1716년

같은이름 : 방지거, 예로니무스, 제로니모, 제롬, 지롤라모, 프란체스꼬, 프란체스꾸스, 프란체스코, 프란체스쿠스, 프란치스꼬, 프란치스꾸스, 프란치스쿠스, 프랜시스, 히에로니모, 히에로니무스



프란치스코 디 지롤라마(Franciscus di Girolama)로도 불리는 성 히에로니무스의 프란치스코(Franciscus de Hieronymus, 또는 프란체스코)는 이탈리아 타란토(Taranto) 근방 아풀리아(Apulia)의 그로타글리에(Grottaglie)에서 태어났다. 그는 타란토의 예수회 대학에서 인문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베키오(Vecchio)에서 신학과 교회법을 수학한 후 1666년 나폴리에서 교구사제로 서품되었으나 28세 때에 스스로 예수회에 입회하였다. 그는 정식으로 서원을 발하고 죽을 때까지 농촌 선교사로서 나폴리 지방에서 활동하였다.


그의 뛰어난 설교는 단순하고도 힘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말할 때는 양 같고 설교할 때는 사자 같다”는 말이 생겨났다. 그만큼 그의 설교로 감화를 받는 사람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회개자를 얻기 위하여 감옥과 매음굴을 서슴없이 찾아다녔고 작은 촌락과 뒷골목 그리고 길모퉁이에서도 그의 선교활동은 계속되었다. 또한 그는 무어인들도 개종시켰을 뿐만 아니라 터키 죄수들까지 신자로 만들었다. 그러나 그를 통해 회개한 이들 중 가장 뛰어난 이는 자신의 부친을 살해한 어느 프랑스 여인이었다. 그 여인은 회개한 후 남장을 하고 에스파냐 군에서 복무하였다. 또한 그는 위험한 환경에 있는 수많은 어린이들을 구하였다. 그의 장례식 때에는 나폴리의 거의 모든 걸인들이 관 주위에 모여 그를 애도하였다. 그는 1806년 교황 비오 7세(Pius VI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1839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6세(Gregorius XVI)에 의해 시성되었다.

출처 : 가톨릭 홈


 


매일미사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후 사용하세요.


매일미사_2017년 5월11일(백) 부활 제4주간 목요일

Comentários


bottom of page